- 영문명
-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Subject in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고진복(JinBok Koh)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9권 제1호, 193~21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과 성취기준의 문제점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과 성취기준을 성취기준 전체, 개별 성취기준, 성취기준들의 상관이라는 3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과용도서 개발에 참여한 전문가와 특수교사 15명에 게 성취기준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성취기준의 전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제점은 너무 넓은 범위, 단순한 반복, 너무 많은 성취기준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성취기준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제점은 성취기준의 위계 및 수준이 잘 못 설정되어 있거나, 적절성 및 타당성, 명료성이 낮은 성취기준의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기준들의 상관이라는 관점에서는 성취기준 간의 통합과 상위 목표와 관련성이 부족한 성취기준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개정ㆍ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subject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f study,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subject in the basic curriculum was analyzed, divided into 3 aspects as the whole achievement standards, individual achievement standards and correla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A Delphi survey was implemented as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Korean subject, and then the contents analysis of the resul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that the problems of the whole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in the basic curriculum were as follows: too broad scope, simple repetition and too many of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The problems of individual achievement standards were as follows: the hierarchy and level of achievement standards set out wrong, and achievement standards failed to established the appropriateness, validity and clarity. In the correla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the integration among achievement standards was need and the relations with the higher goals were inadequat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we confirmed the problems of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supplements to revise and complement these problems for the future curriculu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