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계몽기 여자 교육 담론과 수신ㆍ독본 텍스트의 내용 변화

이용수 226

영문명
The Arguments for Women's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Texts during Modern Enlightenment Time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김경남(Kim Kyung-na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9輯, 149~171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arguments for women's education in scientific journals, and these theories were affected in textbooks for education during modern enlightenment time. I gathered 82 arguments of women's education in journals, and 4 texts for the course of moral culture and reading. The arguments contained home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and women's education. In this time, many arguments asserted that women's role was 'good wife and wise', but these opinions were based on theorists of civilization and nationalism, which was modern thinking ant that time.. The contents of textbooks such as CHODEUNGYEOHAKDOKBON(초등여학 독본), NYEOJASOHAKSUSINSEO(녀자소학수신서) and NYEOJADOKBON (녀독본) were not modern books, because the contents were affected by traditional women's education. This tendency led to a limitation of feminism in this time.

목차

1. 서론
2. 여자 교육 담론과 수신ㆍ독본 텍스트의 내용 변화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남(Kim Kyung-nam). (2014).근대 계몽기 여자 교육 담론과 수신ㆍ독본 텍스트의 내용 변화. 한국언어문학, 89 , 149-171

MLA

김경남(Kim Kyung-nam). "근대 계몽기 여자 교육 담론과 수신ㆍ독본 텍스트의 내용 변화." 한국언어문학, 89.(2014): 149-17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