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5 Flavonoids from White Wine Prepared with Addition of Black Tea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조정용(Jeong-Yong Cho) 손경현(Gyeong-Hyun Son) 현숙희(Sook-Hee Hyun) 마승진(Seung-Jin Ma) 김선재(Sun-Jae Kim) 문제학(Jae-Hak Moon) 박근형(Keun-Hy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0권 제1호, 50~5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국문 초록
홍차를 첨가하여 제조한 홍차 화이트 와인에 catechin류와 theflavin류 외에 유용 화합물을 분자수준에서 구명하였다. 즉 홍차 화이트 와인으로부터 ethanol을 제거한 후의 수용액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OAc층으로부터 ODS opencolumn chromatochraphy와 ODS-HPLC에 의해 5종의 화합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들은 NMR 및 MS 분석을 통해 quercetin 3-O-β-D-galactopyranoside (1), quercetin 3-O-β-D-glucopyranoside (2), kaempferol 3-O-β-D-glucopyranoside (3), kaempferol 3-O-β-D-galactopyranoside (4), 2,3-trans-dihydrokaempferol (5)로 동정되었다. 홍차 화이트 와인으로부터 동정된 5종의 flavonoid류는 발효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홍차 화이트 와인 모두에 존재하고 있었으며, 그 중 화합물 2과 3은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홍차 화이트 와인으로부터 동정된 5종 화합물의 함량을 합한 총 flavnoid 함량은 발효균주 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홍차 화이트 와인에는 catechin류, theaflavin류 외에 5종의 flavonoid류들도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홍차 및 그 응용제품의 성분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Five flavonoids were purified and isolated from white wine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black tea (BTWW) by octadecylsilane (ODS) open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quercetin 3-O-β-D-galactopyranoside (1), quercetin 3-O-β-Dglucopyranoside (2), kaempferol 3-O-β-D-glucopyranoside (3), kaempferol 3-O-β-D-galactopyranoside (4), and 2,3- trans-dihydrokaempferol (5), based on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is. The BTWWs were prepared with green grape juice containing 2.5% (w/v) black tea using three Saccharomyces strains and the five flavonoids identified were qualified and quantified by ODS-HPLC analysis. All five flanovoids (1-5) were detected in the BTWWs with compounds 2 and 3 having the highest content among them. The contents of compounds 1 and 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BTWWs prepared by three strains, but the other flavonoids (3-5) and their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simil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5 flavonoids in BTWWs would be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black tea.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