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Open Orientation Degree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두영(Kim, Doo-Young) 김호연(Kim, Hoyeon) 박원희(Park, Won-H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4호, 359~383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김두영ㆍ박원희, 2013)를 적용하여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분류함으로써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설정향성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하여 먼저,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199기관(2001년 12월 기준) 중 36.6%에 해당하는 73개 기관에서 2013년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장애성인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명칭, 목적, 내용, 대상, 형식, 장소를 기준으로 프로그램 조사표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특성 및 발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관은 명실공이 대표적인 장애인 평생교육 기관이며, 양질의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장애성인 교육을 전담 지원할 전문 인력을 양성ㆍ배치하는 일이 시급하다 둘째, 향후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합화와 다양화를 위해서는 장애성인의 생애단계별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고 다양한 종류 및 내용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연구ㆍ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범정부적 차원의 장애인 평생교육 기관에 대한 평가단을 구성하여 장애인복지관이 고유기능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등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trend of setting program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t welfare centers nationwide with applying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long-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73 out of 199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and 723 programs which were ongoing at those centers currently were analyzed. The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6 different categories; type, purpose, content, for whom, method, and program location. The three conclusions on this study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First, since welfare center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s the most reliable facility currently, qualified specialists for lifelong-education should be posted. Second, in order to get a clear grasp of their need on lifelong-education profound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for diversity and suitability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Last, the nationwide level of evaluation system should be operated to promote the facilities' functioning for lifelong-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