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gnitive states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difficulties in word problem solving process: An application of Rule Space Model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고혜정(Hyejung Koh) 김동일(Dongil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4호, 247~273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학문장제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들의 인지상태를 규칙장모형을 적용하여 진단하고자 한다. 이 를 위해 수학문장제 문제해결과정을 반영하여 Q-matrix를 제작하고 타당도를 확인한 후, 수학문장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같은 인지상태를 보이는 학생들을 분류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977명을 연구대상으로 각반 교사들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규칙장모형의 3단계(문항모수 추정-실제관찰반응패턴과 이상반응패턴, 학생들의 능력모수(Θ) 및 문항특이성 지수(ζ)산출-규칙장투영)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들이 주로 보이는 인지상태를 살펴보았고, 같은 접수일지라도 각 학생들의 인지상태는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는 학습자의 인지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왜 그렇게 사고하였는지를 더 깊이 파악할 수 있으며, 인지요소의 숙달 여부로 학생들 개개인의 인지 프로파일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provide the suitable educational service to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math, it is crucial to understand what they are struggling with.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Rule Space Model; RSM. The application of RSM means that it uses the prepared knowledge structure, meaning that it is assumed to categorize into the quality patterns known as the cognitive statu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77 4th grade students. Attributes related to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ere extracted and a Q-matrix show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gnitive attributes and the items were developed. RSM analysis was used to categorize the students' cognitive attribute status. population parameter was estimated. Then, individual students' cognitive attribute status, observed response patterns and ideal response patterns, theta and zeta were produced using the AnyRSM(KSES, 2004) program. The produced information; responder's ability(Θ, IRT ability population parameter) and uniqueness of the question(ζ) were converted into the spatial coordinate and were projected in the two-dimensional rule space, and through comparing the Mahalanobis distance (D2). 51 types were evident in the present study and excluding 4 out of the 973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the prepared knowledge state. This provides the specific qualitative information on the students' cognitive structure that help us to figure out his/her strength and weaknes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제한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