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arning Styl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라(Kim Eunra) 박재국(Park Jaekoo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4호, 151~171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습양식 특성과 뇌성마비아동의 성별 및 장애유형에 따른 학습양식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뇌성마비아동 45명, 일반아동 45명을 대상으로 학습양식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은 학습양식의 하위요인 중 소리 , 동기화, 사회성, 이동성에 대한 선호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성마비아동의 성별에 따른 환경적, 정서적, 사회적, 물리적 요인의 선호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장애유형에 따라 밝기, 학습 자료의 지각, 학습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호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뇌성마비아동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키고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길러 주기 위한 학습활동의 계획과 교육적 중재 제공 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hile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learning style in Korea, no study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learning sty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Incorporating learning styles information into th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is a means of provid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display different learning style preferences from non-disabled students and whether there are learning style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with cerebral palsy, spastic and non-spastic cerebral palsy.
This study selected 4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45 without disabilities and employed the Learning Style Inventory Primary Version designed by Janet Perr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significantly differed from non-disabled students on the following variables: sound, motivation, sociological, mobility. The study also indic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rning styl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with cerebral palsy.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astic and non-spastic cerebral palsy on the following variables: light, perceptual strengths, time of day.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adapted by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th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can be provid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