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dults' Rhotic Monophthongs and Diphthongs
이용수 258
- 영문명
- 성인 치경접근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특징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정현주(Hyunju Chung) Karen E. Pollock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19. no.1, 113~11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치경접근음은 일반적으로 습득이 어려운 음성 중 하나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특히 치경접근 자음에 비해 치경접근 모음의 연구, 심지어 성인 대상의 연구 중에도 치경접근 모음에 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음성환경이 치경접근 단모음과 이중모음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따라서 조음 습득에 더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는 지를 음향학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서부 캐나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10명의 여성 성인 화자로부터 폐음절 또는 개음절 내 2종류의 치경접근 단모음과 4종류의 치경접근 이중모음을 포함한 36개의 목표단어를 채취하여, 각 모음의 F2, F3 및 모음 길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치경접근 단모음과 이중모음 중 치경접근음 앞에 전설모음이 오는 경우 지속적으로 낮은 F3-F2 패턴을 보인 반면, 후설모음이 오는 경우 상대적으로 경사진 하향 패턴을 보였다. [ɝ] 모음이 [ɚ]에 비해 길이가 긴 것을 제외하면, 강세여부가 다른 두 종류의 치경접근 단모음에서는 뚜렷한 음향학적 차이를 찾아볼 수 없었다. 네 종류의 치경접근 이중모음 또한 뚜렷한 모음길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여섯 종류 치경접근모음의 음향학적 차이는 특정 음성환경이 보다 더 뚜렷한 음향적 단서를 제공함으로 음성 습득에 보다 용이한 음성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Rhotic sounds are known to be among the later developed sounds in young children, especially for those with speech sound disorders. Despite this fact, not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hotic vowels. Adults' productions of rhotic vowels have not been well investigated in spite of a relatively large literature on rhotic consonants. This study examine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rhotic monophthongs and diphthongs to see if certain phonetic contexts require less demanding articulatory movements or are different in vowel duration from other contexts, and thus work as a facilitating context for the acquisition of rhotic vowels. Methods: Ten monolingual female adult speakers of Western Canadian English produced 36 target words containing two rhotic monophthongs ([ɝ] and [ɚ]), and four rhotic diphthongs (/ɪ͡ɚ/, /ɛ͡ɚ/, /ɔ͡ɚ/, and /ɑ͡ɚ/) in both open and closed syllables. Acous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tract F2 and F3 values across the vowel duration, as well as the duration for each vowel. Results: Constantly low F3-F2 values were found for rhotic monophthongs and rhotic diphthongs with front pre-rhotic vowels, but steeper downward movement was found for rhotic diphthongs with back pre-rhotic vowels. Stressed and unstressed rhotic monophthongs showed similar acoustic patterns, except for [ɝ] which was slightly longer than [ɚ]. Across four rhotic diphthongs, no clear durational difference was found. Conclusion: Differences in acoustic patterns by phonetic contexts across six different rhotic vowel types suggest that certain phonetic contexts could provide more salient perceptual cues and thus facilitate relatively easier mastery of sounds over others for young children.
목차
Abstract
METHODS
RESULTS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