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Accuracy Analysis of Reverse Design of Architectural Heritage by Terrestrial LiDAR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유지훈(Yu, Ji Hun) 홍성언(Hong, Sung Eon) 김윤기(Kim, Yun Ki)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韓國地籍學會誌 第29卷 第2號, 85~9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상라이다측량을 활용하여 건축문화재의 3차원 데이터를 취득하고 가공하여 역설계도면을 작성하고 현재의 정밀 실측조사방법에 의해 작성되어진 기본도면과 정확도를 비교하여 봄으로 서 지상라이다측량에 의한 건축문화재 역설계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확성 측면에서는 오차 범위내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나 부재별 치수대상이 아닌 단순 도면표현부분에서 지상라이다에 의한 역설계도면이 더 실제와 가깝게 나타났다. 효율성 측면은 정밀실측조사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이 나타나지 않아 비교가 어렵지만 지상라이다 역설계는 짧은 시간에 정확한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상라이다에 의한 건축문화재의 역설계는 충분한 활용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cquire the 3 dimensional data for architectural heritage utilizing Terrestrial LiDAR survey and produce the reverse design map. In addition, authors tried to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Terrestrial LiDAR survey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eritage preservation by comparing the accuracy of the reverse design map and that of the existing map which was produced by using current surveying method.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reverse design map and the existing map, which was within the range of an error tolerance. In terms of visualizing architectural heritage, the reverse design map seemed to be closer to the reality. It was difficult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two maps because there were not any detailed descriptions for precise actual survey methods. However, the Terrestrial LiDAR survey was turned out to be more time-efficient than the existing survey method. It was concluded that the reverse design of architectural heritage based on the Terrestrial LiDAR survey results seemed to have lots of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heritage preservation.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지상라이다와 건축문화재 역설계
3. 실험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