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se of Terrestrial LiDAR for Analysis of Estuarine Hazard Area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전계원(Kye Won Jun)(全桂元) 전병희(Byong Hee Jun)(田炳熙) 이승철(Seung Chul Lee)(李承哲)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12호, 97~10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국문 초록
강원도 산지하천은 경사가 급하고 유로가 짧아 집중호우시 유사가 하류로 빠르게 이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동해안과 만나는 하천의 하구부에서는 하천유황과 흐름에 따라 다양한 지형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퇴적토사의 증가로 하구폐색현상이 일어나 하천환경적으로 위험지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지형학, 해안선 변화, 하천지형 변화 및 재해현장 조사 등에 활용되고 있는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강원도 삼척시 가곡천 하구부 지형변화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형의 표고분석을 통해 하구부 폐색현상에 따른 침식지점과 퇴적지점 및 각 지점의 변동경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Mountain streams in Gangwon-do are characterized in that quicksand rapidly moves downstream in torrential rain because they are steep and have short channels. In particular, there are various topographic changes according to the river flow characteristics and flow at the mouth of the river which meets the east coast of Korea. In addition, estuary closure caused by an increase in sand deposits forms hazard areas in the fluvi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hanges in topography at the mouth of the Gagokchen in Samcheok-si, Gangwon-do with the use of terrestrial LiDAR used for geomorphology, changes in coastline and fluvial morphology and research of disaster site recently. As a result, height analysis of the topography showed the variation trends of each erosion and deposition site according to the estuary closur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지상 LiDAR 측정의 기본원리
Ⅲ. 연구대상지역 및 현장적용 방법
Ⅳ. 지상 LiDAR 측정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