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Forest Fire Risk Factors near Buddhist Temple Cultural Assets within Forest Area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권춘근(Chun Geun Kwon)(權春根) 이시영(Si Young Lee)(李時泳) 염찬호(Chan Ho Yeom)(廉鑽鎬) 박흥석(Houng Sek Park)(朴興錫)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10호, 107~124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산림 내 주요 시설물인 사찰 문화재 주변의 산불위험인자 도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찰 문화재 주변 발화인자, 입지적인 여건, 임상여건 및 산림과의 이격거리, 산불방지 시설 여부, 숲 가꾸기 관련, 접근성 관련 등 총 6개 항목에 대해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설물들이 경사가 급한 지역에 있을수록, 주변 임상이 침엽수림, 중경목 지역, 주변임상 수고가 10m 이하, 주변산림 밀도가 높을수록, 주변산림과의 이격거리가 짧을수록, 산불방지 시설 미설치 시설물, 숲 가꾸기 미실시 지역, 진화자원 진출입로의 개수가 1개이고 폭이 7m 이하일 경우 산불 발생 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fiel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6 categories including ignition factors, locational conditions, forest conditions and separation distances with forests, existence of forest fire prevention facilities, forest caring, and accessability related factors regarding Buddhist temple cultural assets which is a key facility within forest areas in order to provide a forest fire safety diagnosis system and a basic resource of forest fire damage reducing technology regarding Buddhist temple cultural assets which is a key facility within forest areas. Study results show that Buddhist temple cultural asset areas with steeper slopes, coniferous forests, medium hard wood areas, tree heights less than 10m, higher surrounding forest densities, shorter separation distance with surrounding forests, without forest fire prevention facilities, without forest care, and one entrance with width less than 7m for fire extinguishing support had a higher possibility of suffering damage in case of forest fir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조사지역 및 내용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