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f the Effect of an Attractive Policy Instrument on Employment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f the Effect of an Attractive Policy Instrument on Employmen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oung Wan Kim(金承完) Moo Hyeon Joo(周武鉉)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9호, 231~252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국문 초록
'일자리 위기' 극복이라는 공감대의 형성과 함께 정부의 재정지원이 고용창출력을 제고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해 볼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경상남도 육성자금 지원이라는 유인적 정책도구를 통해서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육성자금 지원은 중소기업의 고용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금유형별로 시설설비자금을 지원받은 사업체가 고용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금규모별로 3억-10억 미만 사업체가 가장 고용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종사자수 측면에서는 시설설비자금을 지원받은 10-29인 사업체, 경영안정자금을 지원받은 30-49인 사업체에서 고용효과가 가장 크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업종별로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과 기타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에서 고용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권역별로 동부생활권에서 가장 고용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육성자금 지원을 통하여 고용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s whether financial support from a government considers job creation ability as overcoming the 'job crisis' via a bond of sympathy. To do this,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n attractive policy instrument on employment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small and medium company promotion fund support offered in Gyeongsangnam-do.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promotion fund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t small and medium companies. Regarding the fund type, and the company, to which the company who received fund was given, a major employment effect was noted. Concerning the fund scale, companies who received funding in the amount of KRW 0.3~1 billion reported an employment effect. Regarding the number of staff members, the companies with 30-49 such members, to which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ing was provided as well as companies with 10-29 staff members who also received funding which reported an employment effect. For industry, all industries excluding plastic product manufacturing and other industries showed a major employment effect. Finally, regarding local areas, it was found that the employment effect was high in eastern area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 method to increase the employment effect through promotion funding is suggested ultimately to increase overall employment.
목차
국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and Research Review
Ⅲ. Research Design
Ⅳ. Analysis Result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