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earching Methods about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s According to the People Who Admitted In Emergency Departmen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혜선(Hye Sun Kim)(金惠善) 김호중(Ho Jung Kim)(金鎬中)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8호, 87~9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응급실 내원 또는 질병 발생 시에 의학정보를 어떻게 습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그 실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사기간은 2013년 5월 10일부터 25일까지였으며, 조사방법은 응급구조사의 협조를 구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보호자 및 단순 방문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18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응급한 상황에 대한 의학정보 습득방법으로 건강정보방송프로그램과 인터넷이, 방송프로그램은 비타민과 위기탈출넘버원이, 인터넷은 네이버가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To search how public people take the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Methods: We enrolled the people who admitted to our emergency department as patient or family or visitor. Prepared requesting paper was gave and collected to them who was signed after explanation about this study. All data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program. Results: 180 peoples(104 female, mean age 38) were enrolled. In searching method, 79 health broadcasting program was larger than others(61 internet, 27 medical book, 13 others). 'Naver' was larger than others(37 'google', 27 'NATE', 24 'DAUM', 5 others) in internet site comparison. Smartphone was largest in internet method. In TV program, 42 'Risk Rescue No. 1' and 34 'Vitamine' were larger than others( 27 News, 26 others, 24' Achim-Madang', 15'Saeng-Saeng-Jeongbotong', 12 'Live oneulachim'). Couclusions: On searching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in the public, TV medical information program was largest method and 'Risk Rescue No. 1' was best. Smart phone was mostly used to access the internet and 'Naver' was often visited in internet sit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대상과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과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