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icient Risk Communication for Overcoming the Food and Drug Safety Problem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재은(Jae E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1호, 75~90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1.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식품, 의약품의 안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효율적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리스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상호 이해를 돕기 위한 지속적인 상호 의견교환의 과정”으로 보고, 효율적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확보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리스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신속대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각각의 리스크에 대하여 소비자가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리스크와 관련된 표준화된 용어의 사용이 필요하다. 셋째, 언론은 관련된 공중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넷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일반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정보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서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overcoming problems related with food and drugs. For accomplishing the research purpose, in this study risk communication was defined as "continuous process of exchanging ideas for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e stakeholders related with food and drug safety problems". Some implications for efficient risk commun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u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perception. Second, we have to choose and use the standard terms carefully for sharing the common meaning. Third, mass media should provide the exact information about food and drug safety problems to the public. Fourth, for efficient risk communication, the related public organizations have to provide the understandable information to people sufficiently. Finally, in the field of food and drug, we have to make every efforts to cultivate risk communication specialist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생활안전과 위험
Ⅲ. 리스크 분석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Ⅳ. 효율적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확보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