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nd and Prospect of Natural Disasters after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alysi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오재호(Jai Ho Oh) 허모랑(Mo Rang Huh) 우수민(Su Min Woo)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1호, 47~74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1.31
국문 초록
현재 우리는 과거에 비해 발달된 문명과 산업사회의 편의를 누리고 있지만, 여전히 인간의 예측 범위를 벗어나는 자연 재해와 재난으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를 경험하고 있으며 더욱이 날로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는 기후변화의 위기에 직면하여 자연재해와 재난으로 인한 현대 사회의 불안감도 증폭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8년 자연재해대책법에서 ‘재해’와 ‘재난’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세기 이후 발생한 자연재해ㆍ재난의 통계자료와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래 자연 재해ㆍ재난의 변동 추이를 전망하였다. 최근의 자연환경 변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때, 미래의 기후변화 경향과 이의 결과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재해ㆍ재난의 모습들도 현재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구 온난화가 단지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기상의 출몰로 재해와 재난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IPCC 보고서를 비롯한 여러 연구에서도 지적한 바 있다. 자연재해ㆍ재난의 특성 분석과 미래 전망은 과학자들이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 사람들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들에게 위협이나 경고를 던지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를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해 인류 전체가 가져야할 책임의식의 고취와 장기적인 정책 거버넌스의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효용 가치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e are enjoying an opulent lifestyle in an advanced culture and industrial society. Nevertheless, It is getting more serious that our suffering caused by unexpected disasters with human and his prosperities. We face to the crisis of the global warming. However, The anxiety about the future will be amplified in current society. Since 2008, Korean government has built the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According to this act, “Disaster” should be under control as following the legal definit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after the 20th century was analysed using the statistic data. The prospect in near future could be shown as that some kind of changes might happen a new possibility. Especially, The climate changes can bring about the severe climatological phenomena and the accompanying to changes of Earth environments as mentioned of IPCC report. Finally, we should utilize this results as the basis source of establishing the governance and encouraging the sense of obligation for reduction of the disaster impact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세계의 재해ㆍ재난 발생 특성
Ⅳ. 우리나라의 재난ㆍ재해
Ⅴ. 미래의 재난ㆍ재해
Ⅵ. 종합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