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Resolving Syntactic Ambiguity in Normals and Aphasic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윤정(Yunjung Kim) 김수정(Sujung Kim) 정재범(Jaebum Jung) 편성범(Sungbom Pyun) 남기춘(Kichun Na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5권 제1호, 102~11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0

국문 초록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낱말들이 문장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지 그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이해, 표현, 명칭실어증 환자는 각각 어떠한 방식으로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지 정상인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실험의 재료로는 구문 중의성 문장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과제로는 자기 조절 읽기 과제(self-paced reading task)를 사용하였다. 이때 종속변인으로 중의성 해결 지역의 읽기 시간(reading time)을 측정하였다. 정상인을 대상으로 했던 선행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경우 용례 빈도가 높은 주어로 즉시적 해석을 내린다는 결론을 얻은 바 있는데,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였던 실어증 환자 3명 모두 정상인과 차이가 없어 즉시적인 정보처리에는 손상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3명의 환자 모두 전체 문장을 읽는 시간이 오래 걸려 읽기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해실어증 환자의 경우 마지막 어절을 읽는 시간이 유의하게 오래 걸려 최종적인 정보 통합 능력에 문제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understand a sente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every word which make up the sentence and to understand how they function in the sentence structu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pecific features that Broca, Wernicke and anomic aphasics show in their understanding of a sentence structure. The material used for the research was a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 An example is ‘정치가’ which is ambiguous between the two meanings of ‘정치(politics) + 가(particle)’ and ‘정치가(politician)’. Reading time for resolving ambiguity in a self-paced reading task was measured. In the previous research for normal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mbiguous/unambiguous sentence when a sentence segment like ‘정치가’ was used as a subject, meaning ‘politics + particle’,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when the sentence segment was analysed as ‘noun + affix’, meaning a politician. Therefore we concluded that Koreans analyze an ambiguous segment like ‘정치가’ as a subject (‘politician + particle’). It was also found that three patient subject s had no diffuculty in processing morpho- syntactic information campared with the normal subjects. However, all of the aphasic subject s took longer time than the normal subject s to read the sentence. Furthermore, in the case of Wernicke aphasic, she did not have difficulty in the processing of morpho- syntactic information, but had obvious difficulty in integrating information of the last segment of the sentenc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