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Economic Effects of Retail Distribution in the National Economy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이유빈(Yu Bin Lee) 박천희(Chun Hee Park) 배기형(Ki hyung Bae)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23권 제5호, 355~3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은행이 2010년에 발표한 2009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소매업을 소매유통업으로 구분하고 소매유통업이 국민경제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타산업과 비교분석하여 향후 소매유통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제고는 물론 소매유통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 및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은행의 2009년 산업연관표 403개 기본부문 중 소매업만을 소매유통업으로 한정하여 새로이 소매유통업 산업연관표를 작성,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소매유통업산업의 경제적 효과는 총생산유발액은 63.3조원이며, 생산유발계수는 1.715(행), 1.549(열), 감응도 계수 0.796,영항력계수 0.881,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881, 소득유발계수 0.338, 생산세유발계수 0.047 그리고 노동유발계수 0.031 등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government policy and establishment of a strategy on retail distribution and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future of retail distribution by using the 2009’s Input-output Table announc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0. This study classifies retailing as retail distribution and shows how much retail distribution has contributed to the national economy by analyzing and comparing it with other industr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created and used the retail distribution Input-output Table limiting only retailing to retail distribution out of 403 basic fields of 2009’s Input-output T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retail distribution amount to 63.3 trillion won, with inducement coefficient of l.715(row) and l.549(column),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of 0.867,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of 0.881, value-added coefficient of 0.881,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of 0.338, tax inducement coefficient of 0.047 and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of 0.031.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소매유통업의 산업연관적 분석 모형
Ⅲ. 소매유통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