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Companies Advance of The Indian Logistics Market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박종삼(Jong Sam Park)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23권 제5호, 97~1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국문 초록
우리나라와 한ㆍ인도간 교류의 본격화는 1991년 인도의 개혁개방정책이 본격추진 되면서 1993년 9월 라오 인도총리의 한국방문과 양국 간 투자보장협정이 체결된 이후부터 양국간기업의 진출이 시작 되었고, 2000년대 들어오면서 보다 긴밀한 관계가 지속되면서 2004년 양국간 포괄적 경제 동반자협정(CEPA : Comprehensive Economic Paternership Agreement) 이라는 자유무역협정(FTA)과 동일의 성격의 경제협정을 체결하면서 교역이 증가되어 2015년까지 400억 달러 경제협력을 추진키로 합의하여 교역이 활발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최근 세계경제 금융시장의 불안과 각국들의 투자축소 등으로 인도경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인도정부는 다양한 투자촉진 정책 실시와 유통물류시장의 개방정책실시로 시장은 안정적인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인도의 무한한 경제발전 가능성과 성장 잠재력 있는 물류시장에로의 우리기업의 진출과 교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인도의 경제적 동향과 각 부문의 물류시장의 일반적인 현황 등을 살펴보고, 이어, 인도 주요 권역별 물류시장의 특징 등을 분석 검토하여 우리 기업의 대인도 물류시장에로의 효율적인 진출방안을 제시하여 양국간의 교역증대에 본고의 초점을 두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First, the Indian logistics market and economic trends and the general status of each sector, and examines, Second, the major regional logistics market in India Features Review and analysis of our market, the company’s cash logistics also present an efficient expansion plan to increas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focu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인도경제의 동향
Ⅲ. 인도물류의 현황
Ⅳ. 인도물류의 권역별 검토
Ⅴ. 인도물류시장의 진출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