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orth Korea's "Silwha Novel" genre Characteristics Transformed Aspects Research -『Josun Literature』 Criticism and Literature Theory Books of North Korean Focused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권세영(Kwon, S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65집, 555~577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북의 '실화소설' 장르의 성립과정을 역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장르 도입의 정황과 장르의 성격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선문학』의 평문들과 이후의 북문예서적과 사전류에서 제시된 장르에 대한 개념들을 분석 검토하고자 한다.
북의 실화소설이란 장르의 기초가 된 '오체르크'는 리효운의 평문을 통해 소개되었으며, 해방후 사회주의 문예이론의 도입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전 시점인 해방기에 발간된 『문화전선』, 『조선문학』, 『문학예술』에도 유사한 장르가 발간되었으며 1953년 이후의 『조선문학』의 서사장르의 발표 양상 분석에 따르면 『실화소설』이 오체르크의 직도입이라기 보다는 이전 1953년 이전 실제 사건, 인물 등을 실제 일화들을 소재로 사회주의 문예이론에 바탕을 두고 문예활동의 체계화의 일환으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61년 이후에는 북한의 민족중심의 자주적인 문예이론 정립을 꾀하며 '오체르크'라는 장르는 쇠퇴하며 '실화'라는 장르가 대두되었고 '실화', '실화문학', '실화소설'이란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후 실화소설은 주체문예이론의 영향에 따라 인민들의 교양을 목적으로 실제 사건을 소재한 소설이란 개념으로 정착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는 현실의 실제하는 사건이나 인물을 다룬다는 점은 유지되었으나, 레포르타쥬적 성격이라 할 수 있는 '시기성'과 '평론적' 성격에 대한 강조는 사라졌다는 점이다. 즉, 북의 실화소설은 북문예 초기의 실화 장르와도 다르며 러시아 사회주의 문예이론에 바탕을 둔 오체르크와도 비교하여도 성격이 확연히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by studying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of the genre novel "Silwha novel" of the north Korea, there is a purpose to understanding the changing aspect of the nature of the genre and situation of the genre introduced. For this reason, I consider to analyze the concept of a genre that has been presented by the book literary book and after the plain text of 『Josun literature』(1953).
"Ocherk" that was the basis of "Silwha novel" of the North Korea is introduced through Criticism of Lee Hyo-un. This genre was introduced as part of the acceptance of socialist literary theory in Liberation period. since 『Josun literature』(1953) that are configured in the genre, such as has been published in Liberation period is a state of previous 『Culture Front line』, 『Josun literature』(1948), also 『literature ar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urface, "Silwha novel" the systematization of literary activity is based on the socialist literary theory the theme of episode of fact, the actual events of 1953 previous, prior, such as a person rather than a direct introduction of "Ocherk" it can be seen that it is deployed as part of.
The 1961 and later, "Silwha novel", the rise, genre aims to official literary theory voluntary ethnic center of North Korea, genre called "Silwha" that "true story", the decline is "Silwha literature", the term "Silwha novel" is used. Silwha novel,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ain literary theory, the purpose of education of the people, established on the concept of this novel incidents of actual thereafter. biggest change in the course of such, it's the viewpoint that dealing with the reality, the person and the actual events was maintained, but that disappeared with personality of "Criticism" and "timeliness" be made a "reportage". means that, "Silwha novel" in the north Korea also different "Ocherk" that was early "Silwha" genre of North korea, "Ocherk" based on the socialist literary theory of Russia also be compared, It mean that the character of "Silwha novel" has changed to clear.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오체르크의 도입과 도입시기의 북문예의 경향
Ⅲ. 오체르크 도입 초기의 장르의 개념
Ⅳ. 실화소설 장르의 활성화와 장르 성격의 변화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