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mmunication Medium Recognition in the Modern Novel -
ㆍ media center as shown in the phone-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오연옥(Oh, Yeon-Ok)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65집, 445~475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매체는 사회적 의미를 갖는 내용이자, 새로운 사회 질서와 의사소통체계를 의미하는 메시지이다. 따라서 매체의 변화란 곧 우리 인식체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조선은 근대적 기계매체의 도입으로 매체 변화에 직면한다. 이는 곧 인식체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특히 전화매체는 당대 사회상이나 사람들의 욕구 변화와 맞물려 지속적으로 발달해 왔다.
근대 이후 개항과 함께 새로운 문물이 조선에 유입됨으로써, 서사는 매체라는 새로운 소재를 통해 당대를 반영하는 역할을 하였다. 전화매체는 모티프 차원에서 문학작품에 수용되거나, 서사담론의 차원에서 그 특성이 수용되어 왔다.
본고는 염상섭의 <전화(電話)>ㆍ이기영의 <고향>을 중심으로 문학작품에 드러난 전화매체의 인지ㆍ소통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문학이 전화매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매체의 유입에 따른 사회변동을 문학작품이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살피는 작업은 곧 매체가 한 사회의 인식체계에 어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논의이기 때문이다.
<고향>에서 전화가 가진 '호출'의 기능은 '규율 훈련용 미디어'라는 정치적 의도로 활용되었다. 전화가 개인의 정치적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호출'의 도구로 수용된 것과 달리, <전화>는 '호출'의 기능을 거부함과 함께 전신 매체에 함축된 제국주의의 '무작위식의 근대화 정책'을 직시한다. 근대 문물에 대한 직시는 곧 전화라는 전신 매체를 거부함으로써 일제 식민정책에 대한 무의식적 저항으로 이어진다.
영문 초록
Media has social meaning and the message that the new social order and communication system. What is the change in the media means a change in the recognition system. Thus, changes in the media field, we soon recognized means of system changes.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mechanical media, Chosen Nation faces media changes. It's means a change of the recogni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communication medium.
Contemporary society or with a change in the desire of people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Communication media acceptable to the literature in terms of motif, or at the level of narrative discourse has been accepted by the characteristics. Since the modern with the opening of two new civilization by being introduced into Korea, narrative through the medium of a new role was to reflect contemporary.
This study focusing on Yeum Sang-soup's ㆍLee Ki - Young's . Revealed in literature communication media awareness and communication aspects of attention by the media, how literature reflects the call to make sure.
Due to the influx of media and social change, how does literature reflect the work's feeling soon in media recognition system of a society in any significant influence is because the discussion.
on the phone with a 'cal'' function of the 'disciplinary training media' has been used as a political intent. Phone for personal political desire to achieve 'cal'' of the tool as opposed to the accepted,
a 'call' with the function of rejecting implied in the media imperialism 'random modernization policies of the expression' to face.
Modern civilization is about to face the media by refusing to call soon for Japanese colonial policies lead to unconscious resistance.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기
Ⅱ. 매체이론의 접근을 통한 문학 연구
Ⅲ. 규율 훈련용 미디어의 즉각적 호출
Ⅳ. 당첨식 근대화 정책과 정치적 무의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