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between Online Buzz Activities and Market Performanc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정석봉(Seok Bong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2013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35~24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2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식 프렌차이즈 업에서 온라인 구전 활동과 기업의 시장성과가 서로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형 패밀리레스토랑 3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상대적인 시장 점유율과 온라인 구전점유율 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온라인 구전 점유율은 해당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시장 점유율은 다시 온라인 구전 점유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불어 동기간 내에서도 시장 점유율과 온라인 구전 점유율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외식산업에서 온라인 구전활동과 시장성과는 단방향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영향을 주는 양방향의 관계임을 의미하며 기업은 온라인 구전활동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Due to the popularity of online communications like personal blog, cafe or social network service, a massive amount of online buzz data becomes available for many firms interested in these data as marketing tools. In this article we studies relationship between online buzz activities and market performanc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buzz activities and market performances, we introduce two metrics, that is relative share of sales and online word of moth (WOM) volume of each brand. These metrics are helpful to eliminate effects of seasonality in food service industry and natural growing trends of online WOM. We designed regression models using theses metrics and applied to 3 big family restaurant brand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online WOM activities have positive impact on market shares and vice versa.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nline buzz activities and market performances have bi-directional impacts on each othe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모형
Ⅳ. 연구 모형 실증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