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박기봉(Park, Keeb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2013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65~190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2

국문 초록
본 논문은 S&P 500 index 가 야간 정보로서 한국 주식시장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 주식의 시초가는 전일의 S&P 500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종가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박 & 이 (201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박 & 이 (2011)은 KOSPI 지수를 근거로 발견하였지만 본 논문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에서 이 결과를 발견하였다. 두 번째로 주식의 외국인 지분율, S&P 500 지수, 그리고 시초가와 종가 수익률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외국인 지분율이 증가하는 주식일수로 S&P 500 지수의 영향력이 증폭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외국인 지분율이 증가할수록, S&P 500 지수가 시초가 (종가)에 대해 가지는 양(음)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지분율이 없는 주식만 별도로 분류하여 S&P 500 지수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시초가에 대한 양의 관계와 종가에 대한 음의 관계가 여전히 유효함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We investigate whether overnight information could affect close-to-open returns and open-to-close returns differently. S&P 500 index returns are used as overnight information.
Firstly, we find that close-to-open returns (Ct-1Ot) of Korean stock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yesterday S&P 500 index returns. On the contrary, the negative correlation appears between yesterday S&P 500 index returns and open-to-close returns (OtCt). The negative relation, as Park and Yi (2011) argue, is possibly due to the mispricing of investors. However, our findings are based on the prices of Korean equities, not KOSPI index returns. Second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close-to-open returns and open-to-close returns of Korean equit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foreign investor ownership. As foreign investor ownership is increasing, the impact of S&P 500 index on close-to-open returns is enforced, whether it is positive or negative. Thirdly stocks who do not have foreign investor also respond negatively to the returns of S&P 500 indexes during a daytime and positively during overnight. This relation can be understood by Barberis, Shleifer and Wurgler (2005) and Veldkamp (2006), where argue that when investors Price assets a common subset of information, news about one asset affects the other asset's Prices; i.e. asset price co-move.
목차
Abstract
요약문
Ⅰ. Introduction
Ⅱ. Related Literature and Hypothesis Development
Ⅲ. Data and Methodology
Ⅳ. Empirical Analysi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