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South Korea and Japan focusing on Basic Education Sector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승(Cho, Hye-Seung) 김기석(Kim, Ki-Seok)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3권 제6호, 55~78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기초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ODA)를 비교분석하여 그 현황과 특징을 드러낸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ODA 추진체제, 정책, 기초교육 ODA의 규모와 추이, 유형별 특징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일본의 ODA 추진체제, 정책 틀, 기초교육의 목표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의 기초교육 ODA는 규모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지원비율도 일정치 않았다. 유형별 특징으로는 한국의 기초교육 ODA가 건립사업과 초등교육에 국한되어 있어, '기초교육'을 한정적으로 정의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한국 기초교육 ODA의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기초교육'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와 한국의 교육발전경험을 토대로 한 기초교육 ODA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South Korea and Japan regarding basic educ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structure and policy framework of ODA as well as the trend, and typ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rgues that South Korea adopted to a considerable degree its ODA structure, policy framework and the goal of basic education from Japan without much attention to its own ODA development.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cale of South Korea's basic education ODA was minimal in volume and inconsistent in content while the limited conceptualization of 'basic education ODA' in Korea is confined to 'primary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construction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draw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basic education ODA in South Korea. In order to improve basic education ODA, South Korea needs to not only increase the scale of the ODA but also develop the effective strategy within the limited ODA siz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definition of basic education' as well as rigorous research on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South Korean ODA based on its educational development experience are critical. In addi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hat not only 'educa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but also 'education as human rights' to be considered in the basic education OD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기초교육 용어의 등장과 의미의 변천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