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ducational discourse on art criticism and modern humaniti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남정(Park, Nam Jeo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7券 3號, 309~3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대를 살고 있는 교사가 미술비평교육을 어떤 시각에서 바라봐야 하는가를 제기하고, 인문 학의 위기로 정의되는 현대 인문학의 위상과 미술 비평의 실제적관계를 탐색 함으로써 기존 미술비평교육에 대한 논의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관점에서 미술비평과 인문학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시도한다. 특히 펠드먼 이후 정돈된 이론이 등장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미술 비평 교육을 인문학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구체적으로는 인문학에 대한 이해를 위해 고전적 인문학, 르네상스 인문학, 현대적 인문학의 시대적 가치를 검토하고, 딜타이의 생철학을 토대로 인문학과의 관계를 살핀다. 또한 인문학과 미술비평의 관계를 ‘반성적 사유’,‘자기중심의 해석 ’,‘은유적 표현’ ,‘실천적 언어’라는 네 가지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인간의 사유에 의해 작품을 판단 • 해석하는 미술비평이 구체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인문학과 궤(軌)를 같이 하는지 검토하는 것은 미 술 비평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보다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how teachers who live in present time should look at art criticism and it aims to provide discussion agenda on existing education of art criticism by exploring practical relationship between modern humanities' status which is defined as crisis of humanities and art criticism. For this aim, this researcher tries to conduct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criticism and humanit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Because there has not appeared an arranged theory about it since Feldman, this study suggests understanding art criticism focused on humanities. And it examines periodic values of classical humanities, Renaissance humanities, and modern humanities in order to understand humanities in detail and it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criticism and humanities based on Diltheys philosophy of life. And it als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and art criticism focused on four categories, that is, "reflective thinking", "self-centered interpretation", "metaphorical thinking", and "practical language". It is expected that examining how art criticism which judges and interpret a work of art by human thinking has the similar way with humanities will increase more theoretical discussion on education of art criticis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인문학, 생철학
Ⅲ. 미술비평의 현대 인문학적 접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