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imating Mediation Effect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using Tobit Medi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박현정(Park, Hyun-Jeong) 하여진(Ha, Yeoji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4호, 897~916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매개모형에 절단자료가 존재할 경우, 추정치의 편의와 비효율성을 보정할 수 있는 토빗매개모형을 소개한다. 사교육비용과 같은 절단자료는 진점수를 절단구간 내에서만 구할 수 있으므로, 일반매개모형을 적용하게 되면 과소 추정된 효과와 낮은 통계적 검증력을 보일 수 있다. 이에, 절단된 자료의 속성을 고려한 토빗매개모형이 제안되었으나 아직 국내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4~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절단자료인 사교육비 분석에 토빗매개모형을 적용하여 일반매개모형 추정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모형은 사교육 수요모형(종속변수 절단모형)과 사교육 효과모형(매개변수 절단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언어, 수리, 외국어 과목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각 모형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리영역에서의 효과가 가장 크게 드러났다. 토빗매개모형 분석결과는 일반매개모형 분석결과에 비해 전반적인 계수의 상승을 보였다. 이는 절단자료의 속성을 반영하지 않은 일반매개모형은 효과를 과소추정 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는 절단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영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절단비율이 클수록 절단자료의 속성을 반영하지 않은 분석의 효과추정치의 왜곡이 크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매개변수에 절단이 있는 경우, 일반매개모형과 토빗매개모형의 총 효과추정치는 차이가 없으며, 매개효과추정치만 일반매개모형이 토빗매개모형에 비해 과소추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에 절단이 있는 경우, 일반매개모형의 총 효과추정치와 매개효과추정치, 직접효과추정치가 모두 토빗매개모형에 비해 과소추정된 것으로 나타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 performance of Tobit mediation model using the forth-year to sixth-year KELS(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data. Tobit mediation model can be used to deal with censored data such as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Censoring occurs when the value of a measurement or observation is only partially known. If one do not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their observed values are recorded as zero; left-censored. To analyze this kind of censored data, we should apply different approach from ordinary least square approach which assume the normal distribution. Instead of modeling the observed variables, Tobit mediation model is modeling the latent variables. With this, researcher can get unbiased and efficient mediation estimates.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obit mediation model is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mediat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diation coefficients of Tobit mediation model are higher than that of general mediation model. It implicates that the general mediation model underestimate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 become larger as the proportion of censoring higher.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