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n Physical Fitness for Health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the Application of MGL Movement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길훈(Jung, Kilhoon) 박화문(Park, Hwamoon) 정성민(Jung, Sungmi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2호, 95~10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MGL 운동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적장애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지적장애학생 4명을 대상으로 MGL 운동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PAPS 검사도구를 통한 사전검사, 20주에 걸친 훈련, 사후검사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첫째, MGL 운동교육 프로그램 실시한 후 PAPS의 필수평가인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ㆍ근지구력, 순발력, 체지방은 향상되었다. 평가요인 및 종목별로 학생들의 개인차는 있었지만,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ㆍ근지구력, 순발력은 향상되었고, 체지방은 정상에 가깝게 접근하였다. 특히 4명의 학생 모두는 유연성과 근력ㆍ지구력에 가장 크게 향상이 되었고, 체지방에서는 가장 적은 향상을 보였다. 둘째, MGL 운동교육 프로그램이 실시한 후 PAPS의 선택평가인 비만평가, 자기신체평가는 향상되었다. 평가 주체에 따른 개인별 차이는 있었지만, 비만평가의 등급과 학생자기평가의 점수가 100점에 가깝게 접근하였다. 비만평가는 학생의 수치상으로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등급은 학생A와 학생D만 향상되었다. 따라서 MGL 운동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지적장애학생의 건강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으며 특수체육교사는 운동교육프로그램의 자가연수 및 직무연수를 통하여 학교현장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physical fitness for health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the application of MGL movement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ㆍmuscular endurance, power and body fat, which correspond to the essential evaluation of PAPS, were improved. There was individual difference in students by evaluation factor and by item. However, cardiorespiratory endurance was reduced.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ㆍmuscular endurance and power were improved. Body fat got closer to normality. Especially, all of 4 students ha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flexibility and muscular strengthㆍmuscular endurance, and showed the least improvement in body fat.
The second, the obesity evaluation and the self-body evaluation, which correspond to the optional evaluation of PAPS, were improved. There was individual-based difference according to evaluation entity. However, the grade in obesity evaluation and the score in student self-evaluation got closer to 100 points. The obesity evaluation was increased all in light of students' figure. Grade was improved only in student A and student D.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physical fitness ability for health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bilities through MGL program.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will need to positively apply it to the school field through self-training and job training of movement education progra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