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ncongruity of the RSM-based knowledge state estimates of an individual and dealing with the incongruences
이용수 121
- 영문명
- 규칙장이론에 근거한 두 가지 인지상태 진단 불일치 및 그 대응 방안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성훈(Su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3호, 695~7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규칙장 이론에 근거한 인지상태 진단을 위한 두 가지 추정치가 불일치할 경우, 어느 것이 더 정확할 것인지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으며, 두 가지의 추정치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규칙장 이론에 의한 인지상태 추정치 두 가지는 사후확률이 가장 높은 인지상태(TMPS)와 몇 개의 TMPS의 평균치(AMPS)이다. 그 둘이 불일치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 상위의 동점자 두 명과 중위의 동점자 두 명의 사례의 인지상태 추정 결과를 대비하였다. 그 결과 4명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두 추정치간에 불일치하는 인지요소들이 있었다. Q-matrx와 실제 응답결과를 토대로 내용분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어느 추정치가 더 정확한 상태인지 판단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두 가지 진단결과 모두를 교육적으로 활용한다면, 어느 추정치이든 미습득 인지요소를 학생의 상태로 간주할 때 보다 충분한 학습을 보장할 수 있음과, 그러한 접근의 장단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show that two types of Rule Space Model (RSM)-based estimates of an individual's knowledge stare might be incongruent at the attribute level, and to deal with those incongruences. RSM produces a pair of knowledge state estimates of an individual, the most probable stare (TMPS) and the averaged several TMPS's (AMPS). To check the congruity of the knowledge stare estimates two pairs of students having identical scores, one in the highest score range and the other in a middle range, were chosen. The congruity was check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of dements of attribute attainment patterns between the two estimates in a pair, and then by identifying the specific attributes causing the incongruity. Dealing with the incongruent knowledge states 'Was demonstrated by determining a more correct knowledge stare, and by interpreting both of the estimates for instructional purpose. The pros and cons of them were discuss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Knowledge State Estimates in Rule-Space Model(RSM)
Ⅲ. Method
Ⅳ. Results
Ⅴ. Summary and Discussions
Reference
<요 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