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ne analyse comparative des termes de choix libre n'importe quel N en français et amwu-(N)-na en coréen
이용수 20
- 영문명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최윤희(Yoonhee CHOI)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65권, 339~3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15

국문 초록
프랑스어 자유선택어 'n'importe quel N'과 한국어 자유선택어 '아무-(N)-나'는 각각 비한정사 부분인 'quel N'과 '아무-(N)', 그리고 자유선택표지 'n'importe'와 조사 '나'로 구성되어 있다. 'importe quel N' 과 '아무-(N)-나'는 자유선택어의 이론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특히 최소 두 가지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먼저 이 두 단어는 분포, 양화효력, 해석에 있어서 자유선택어로 분석되나, 영어의 'any N'와 같은 전형적인 타 자유선택어와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주목할 점은, 'importe quel N'과 '아무-(N)-나'의 투명한 어휘구조를 통해 어떻게 '자유선택'의 의미가 만들어 지는지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자유선택의 본질적인 특성을 각 어휘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Jayez et Tovena (2005; 2008)의 '동등(equite)'으로 규정하고 두 단어의 존재적 양화효력과 해석을 '동등(equite)'과 문맥과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존재적 양화효력을 갖는 두 어휘가 영역 내의 가능한 모든 개체와 조합될 때의 경우의 수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Ménendez-Benito (2005)의 'partition' 의미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의미론 안에서는 '동등(equité)'을 구성하는 두 개념인 '승자없음(pas de perdant)'과 '패자없음(pas de gagnant)'이 비대칭적이 됨을 지적하고 'partition' 의미론이 적용될 때, 두 어휘는 '패자없음(pas de perdant)'만을 준수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이를 형식화하였다. 또한 두 어휘가 다양한 문맥에서 어떤 해석을 갖는지 영어의 any와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La distribution
3. La sémantique des indéfinis selon Hamblin (1973) et les indéfinis quel N et amwu-(N)
4. Le rôle du marqueur n'importe et la particule -na et une façon de construire des alternatives de domaine de chaque indéfini.
5. La propriété essentielle des TCL : Equité
6. Les interprétations des termes n'importe quel N et amw-(N)-na
7. Conclusion
Bibliographi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