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노진형(Non, Jin Hy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7권 제2호, 74~9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C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260명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분석하여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인에 따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연령, 결혼여부, 학력 및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31세 이상, 기혼,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그리고 영아반 담당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연령, 결혼여부 및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31세 이상, 기혼, 영아 담당 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사회봉사,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는데 그 중 직업윤리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예측하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m and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s were 260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Changwon. The measur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by Lindsay(1987) prepared by Cho(2012) and job satisfaction by Jorde-Bloom(1988) translated by Song(1993). Data was cod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14.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sco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er. On the subordinated domain, the vocational ethics was the high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ge, marital status, schooling and charging class. Second, job satisfaction was above average.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ge, marital status and charging class. Third,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signigicant relationship with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he vocational ethics of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necessit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fitting into teacher's specific character and needs was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