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백종남(Baek, Jongnam) 서선진(Seo, Seonjin) 박경옥(Park, Kyoung Oc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1호, 187~2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자폐성장애, 뇌성마비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가 교수ㆍ학습설계를 구성하는 활동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비교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유형별로 200개씩 총 600개의 사례수를 무작위 표본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각 장애유형 모두 교사들이 보고한 교수ㆍ학습설계 항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 정도에 대한 분포가 제1사분면(지속유지)과 제3사분면(낮은 우선순위)에서 선형의 형태로서, 과잉노력을 지양해야하거나 집중적인 노력을 지향해야하는 활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특수교사들의 교수ㆍ학습설계의 중요도 인식에 따른 실천정도의 정도가 적절하게 나타나고 있어, 결과적으로 정신지체, 자폐성장애, 및 뇌성마비 학생을 위한 교수ㆍ학습설계는 중요도 인식 수준에 따른 수행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에서 양질의 수업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학습설계에 대한 실천적 지식과 이론적 담론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s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nactment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ir teaching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utism, and cerebral palsy. Total of 6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either online or offline survey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y perceive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nd how they actually enact it during their actual instructional planning.
As a result of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all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implement these activities considerably as much as they perceiv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challenges in managing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in terms of learning objectives,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instructional adaptation, evaluation, and teacher reflection. The implications for not only instructional design but also teach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