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bal Interaction Analysis of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Using POE Models of Instruction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용(Sang-Yong Park) 김홍정(Hong-Jeong Kim) 임성민(Sungmin 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1호, 147~1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구 소재의 특수학교에서 POE 수업모형을 적용한 방과 후 과학수업 중 과학교사와 지체장애 학생의 언어적 상호 작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지체장애 특수학교 중학생 8명을 대상으로 POE 수업모형을 적용한 방과 후 과학수업 12차시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 수업장면을 촬영하여 전사하였고, Edward와 Mercer(1987)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에 기초하여 교사의 발문, 학생들의 응답, 교사의 피드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OE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과학교사는 확산적 발문, 운영적 발문 그리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주로 하였고, 학생들은 단답형 응답을 주로 하였다. 과학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의 무응답 빈도수는 감소하였으며, 과학교사를 통한 의사표현의 빈도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POE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주된 언어적 상호작용의 패턴은 확산적 사고를 이끄는 과학교사의 발문-학생들의 단답형 응답이었으며, 학생들의 단답형 응답과 과학교사의 운영적 발문이 일치하지 않으면 이 과정은 반복되었고, 과학교사의 발문과 학생들의 응답이 일치할 때에 과학교사는 즉각적인 피드백을 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위의 패턴에서 운영적 발문의 주체가 과학교사가 아닌 다른 학생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학생들로 하여금 일어날 결과와 그 이유를 제시하는 예상 단계, 실험수행을 통해 얻은 결과를 서술하거나 말하는 관찰단계, 예상과 관찰의 일치와 불일치를 해결하는 설명의 단계로 구성된 POE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 사례연구는 특수학생 과학교육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verbal interaction analysis of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 using POE models of instruction in after school classes. We have filmed conversation of teacher and students for 12 times, analyzed connection of verbal interaction based on analysis standards. As a result, teacher have made divergent question, operational question, instant feedback method, students have made instant answers a lot. Response of students has increased and at the end of the class. Students have expressed their mind to the teacher. The method of interaction in the class, teacher ask a question, student simply answer the question. And then, teacher repeatedly ask a operational question for checking their answer. After the expression of their mind, teacher have gave the instant feedback to the student.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 to improve basic science research ability such as observation, classification, prediction and explanation ability. Also, this will inspire the student who has fewer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in the science class, so that they could get the chance of express their mind.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