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1년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분류일관성, 기초학력 도달 비율, 그리고 하위 단계 성취 정도와 학년말 기초학력 도달간 관계

이용수 555

영문명
Classification Consistencies of 2011 Daejeon Test of Basic Skills(DTBS), Proportions of Basic Leve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s of Achievements in the Lower Level Test and Achieving Basic Level in the Upper Level Test of DTB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반재천(Jae-Chun Ban) 김선(Sun Kim)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1호, 35~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2011년 초등학교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이하 향상도 평가)의 분류일관성 지수를 산출하고, 둘째 기초학력 도달비율을 산출하며, 셋째, 하위 단계 성취 정도와 학년말 기초학력 도달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었다. 향상도 평가는 D 광역시 소속 초등학교 4~6학년 중 기초학력미달로 판정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5월(A형), 9월(B형), 11월(C형)에 시행했다. 3회 시행된 검사형은 모두 동등화 된 것이었다. 연구결과 분류일관성에서 합치도는 최하 0.913으로 매우 높았으며, 카파(Kappa)계수도 대부분 0.6 이상이었다. 기초학력 도달비율은 모든 학년 및 교과에 걸쳐 총점수준에서 도달 비율의 범위가 6.3%~54.9%였다. 하위 단계 검사(A, B형) 성취 정도와 학년말 검사(C형)에서의 기초학력 도달간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에서 하위 단계를 성취할수록 해당 학년 내용을 모두 다루는 C형에서 도달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일부 교과에서는 A, B형의 도달 수준 점수를 성취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C형에서 도달 확률이 높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ies of 2011 Daejeon Test of Basic Skills (DTBS), to obtain the proportions of the students who moved from the Under Basic level to the Basic level in 2011 DTBS, an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s of achievements in the lower level test and achieving basic level in the upper level test of DTBS. The DTBS tests were administered at May, September, and November to the underachieved students who were in grade 4 to grade 6 in D-metropolitan. The three test forms were all eq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y indices were at least .91, and the most of Kappa coefficients were over .6. The proportions of students who moved from the Under Basic level to the Basic level were obtained The proportions varied across subjects, sub-domains, and grades. The range of the proportions were from 6.3% to 54.9%.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s the students got higher scores in the lower level test, they tended to achieve the Basic level in the upper level test of DTBS.

목차

Ⅰ. 서론
Ⅱ.「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특징과 분류일관성 지수 산출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재천(Jae-Chun Ban),김선(Sun Kim). (2013).2011년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분류일관성, 기초학력 도달 비율, 그리고 하위 단계 성취 정도와 학년말 기초학력 도달간 관계. 교육평가연구, 26 (1), 35-61

MLA

반재천(Jae-Chun Ban),김선(Sun Kim). "2011년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분류일관성, 기초학력 도달 비율, 그리고 하위 단계 성취 정도와 학년말 기초학력 도달간 관계." 교육평가연구, 26.1(2013): 35-6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