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Sending and Receiving Contents on SN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구진경(Goo, JinKyung) 이두희(Lee, Doo-Hee) 임승희(Im, Seunghee)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0권 제5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SNS 이용 행동을 컨텐츠 생산행동과 수용행동으로 구분하고 이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지배성향, 자기표현성,인지욕구,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SNS상의 컨텐츠 이용행동에 유의미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배성향은 SNS 생산행동과 수용행동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지배성향이 SNS 생산행동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효과의 상대적 크기는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표현성은 SNS 이용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표현성은 SNS상의 컨텐츠 수용행동보다 생산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욕구는 SNS 컨텐츠 수용행동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SNS 생산행동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SNS 이용자들의 SNS상에 컨텐츠 생산행동과 수용행동에 다른 심리적 기저가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variables on sending and receiving contents on SNS. To do this, we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301 SNS users.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sense of power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nding and receiving behavior on SNS. However, the relative difference regarding the effect of the sense of power is not significant. Also, results suggest that self-presentation influences the SNS usage behavior negatively. In particular, the negative effect of self-presentation on sending behavior is greater than on receiving behavior on SNS. In addition, the need for cogni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ceiving behavior, whil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nding behavior on SNS. Also, an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self-efficacy and SNS usage behavior are not examined in this research. Overall, this research shows that sending and receiving contents on SNS are definitely different behaviormotivated by the different psychological factors.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III.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