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CT -based Project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숙(Kim, Hyungsoo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6券 3號, 57~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국문 초록
융합, 통섭, 학제간 연구와 교육의 상관성은 과연 무엇인가? 국내 교육계에서 논의 되는 이러한 이슈는 융합인재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학계에서냐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관심이 과학과 기술 영역에서부터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만, 예술 장르간 융합, 예술과 인문학간의 융합, 예술과 과학기술간의 융합, 인문학과 과학기술간의 융합 등 다양한 층위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정치(精微)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 (STEAM)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과 요구에 부응하여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에 토대를 둔 융합인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융합의 지형도 그리기를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과 융합인재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구성주의 이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프로젝트 학습의 이론적 토대에 관해 고찰해보고, 둘째 ICT 활용의 프로젝트학습의 특성과 교육적 논의에 관해 다룬다. 그리고 미술과 과학의 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ICT 기반의 프로젝트 학습이 융합인재교육과정에 미치는 교육적 성과에 관해 논의한다. 미술교육이 단순히 학습자의 기능과 표현기술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의 탐구과정, 문제해결력, 자발성과 능동성,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함양하게 되어 여러 지식의 법주를 넘나들며 연결 짓고 자아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과정임을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e educational circles of South Korea. where convergent, consilient,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s become the issue of the day.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may be seen as the most actively discussed topic in both the academia and the field. However, while interest in the fostering of convergent and talented people has led to active discuss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nuanced discussions on diverse levels such as the convergence of artistic genres, art and the humanities, art and science/technology, humanities and science/technology have yet to occur. The diverse areas of arts and technologies could be demonstrated by the convergence of sense and technologies. This convergence between sense and techniques are explained as the convergence of the use of new media, artistic techniques. and the process of creation. The convergence of arts and technologies brought about the shif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sifts of these meant that the process of cognition, convergence edu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elf-voluntariness of project learning, ICT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meeting the interest in and demand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STEAM) convergence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and develop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roject learning that make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theoretical basis of project learning as discussed in constructivist theory and then add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and educational discussions on project learning that makes use of ICT. Second. it proposes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art and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rough such examinations.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educational effect of ICT-based project learning o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It seeks to prove that visual arts education is not education merely for learners' functions and expressive techniques but a program to develop their exploratory processes, problem-solving abilities. voluntariness and activeness. and high-level cognitive abil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ICT기반 프로젝트 학습과 융합 지형도 그리기
Ⅳ. 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형도 그리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