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ducational Direction for the Implications of Digital Media on Visual Culture Education in the age of Cyber-spac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영(Lee, Eun-You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6券 2號, 307~3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국문 초록
사이버스페이스를 야기한 디지털 매체의 함의를 기능이나 활용의 측면이 아닌 매체 이론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그 함의를 바탕으로 한 시각문화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디지털 매체가 불러온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에서 미학적 관심은 ‘아름다운 예술에 대한 미학’에서 지각이론으로서의 미학’으로 이동하였고 이는 다양한 디지털 미술작품으로 현실화되고 있다. 매체 이론의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는 내용을 중립적으로 전달하는 단순 기술로 이해 될 것이 아니라 다원화된 의사소통구조의 실현, 몸의 호환영역확장, 새로운 이미지와 현실 창조, 지각작용에 관한 미학적 관심 증대라는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이러한 함의가 효과적으로 발휘되도록 디지털이 주류 매체인 현대의 시각문화교육은 상호작용, 다원화 매체로 인한 직접적 지각 체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감각을 신장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 이다. 이는 시각문화교육의 학습자에게 미술매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의 폭을 넓혀주는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digital media in terms of Media Philosophy. Media Aesthetics and provide the direction suitable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the age of cyber-space. Digital medium is the salient medium of cyber-space visual cultures and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igital medium for visual culture education.
People tended to simply regard cyber-space as the virtual reality, figment of imagination. But cyber-space is to truly new type of world. It has not only philosophically existential meaning but also expand body domain up to augmented reality which are really new faces of the real world not exposed to people yet. This is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original actual worlds. In cyber-space. Aesthetics focus on gradually the learner's "perception", not just "beauty". Thus people concentrate on various perceptions caused by art media and accept ideas of Media theory. This research also has the same point of view.
The implications of digital media based on Media theory are presented the following: diversified structures and ways of communicating. expanding of learner's body domain. creation whole new images, an increase aesthetic interest in perception. To achieve this, current visual culture education in age of cyber-space proceed in the direction of communicating through the digital media of visual culture and incorporating the visual tactility as well as various synesthesia of different sensations while experiencing directly. I hope this idea will be effective in growing learner's sensation, perception and ultimately learner's visual literac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사이버스페이스의 미학적 관점과 매체
Ⅲ. 디지털 매체의 매체론적 함희와 시각문화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