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ristotle’s on Topos’s Geographical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홍서영(Suhyoung Ho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4권 제3호, 37~5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공간 개념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개념화한 아리스토텔레스의 topos(토포스, τóπoç)에 대해 알아보고 topos를 지리학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제4권에 제시된 topos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topos에 대한 4가지 가정을 상정한 후 변증법과 귀납법을 사용하여 그 중 3가지 가정의 부정확성을 입증하였다. 그가 최종적으로 정의한 topos는 “어떤 것을 포괄하는 물체의 경계”이다. 그의 이러한 topos 정의를 수용기(受容器)적 세계관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계관은 그 이후 중세 시대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아리스토텔레스의 topos 이론은 그 이후 많은 측면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1)과거의 형이상학적 접근에서 탈피하여 공간을 객관적인 실체로서 인식하였으며 2)인간 현존재가 살아가고 있는 공간의 의미를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3) 수용기적 세계관을 정립함으로서 각각의 ‘경계’로 구분지어진 공간으로 이해하게 하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는 지리학적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Aristotle’s topos by analyzing it on geographical perspective. The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is Aristotle’s 『Physics』 Book Ⅳ. Aristotle represent 4 hypothesis. He uses dialectics and induction to prove inexactitude 3 hypothesis. His final definition about topos is the limit of the surrounding body, at which it is in contact with that which is surrounded. His definition about space is called the container view of the world. This view of the world influences until the Middle Age. Aristotle’s on topos encounters criticism about many aspects. But his opinion has geographical importance to 1) deviate a former metaphysical approach and appreciate that space is an objective truth. 2) be able to use the space which human beings are living and a foundation of analyzing the meaning of place 3) define the container view of the world so that represent the conceptual framework about notion of space even though it has been criticized in many aspect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Topos의 개념 탐색
3. 아리스토텔레스 이전의 공간 인식
4.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간 인식
5.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공간 인식
6.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