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China and South Korea autobiographic novels - Focused on Hyen jin-geon’s 「The Follen」 and Yu Da Fu’s 「Sink Into Depravity」 -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김영희(Kim, Yeong-Hee)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62집, 374~396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진건의 〈타락자〉와 욱달부의 〈타락〉을 실례로 한국과 중국의 자전적 신변소설의 양상을 살펴보자고 한다. 한국과 중국의 근현대소설사에 나타난 새로운 양식의 소설-자전적 신변소설은 일본 사소설의 영향 하에 나타났기에, 본고는 우선 일본 사소설의 특성에 비추어 현진건과 욱달부의 일본 사소설 및 그 양상을 살펴보면서 이를 통해 한ㆍ중 두 나라 자전적 신변소설의 양상과 그 의미를 짚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한ㆍ중 두 나라 근현대소설사의 형성과 확립 과정을 돌아보고, 더욱이 현진건과 욱달부의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China and South Korea’s autobiographic novel through Hyeon, jin-geon’s 「The Fallen」 and Yu Da-fu’s 「Sink Into Depravity」. As the new form of China and South Korea’s modern novels, autobiographic novel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Japanese private novel. Therefore, this paper first discusses the concept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Japancese private novel and studies the state reference samples learned from Japanese private novel by Hyeon, jin-geon and Yu Da-Fu, and on this basis, explores specifically the state and significance of China and South Korea’s autobiographical novel through 「The Fallen」 and 「Sink Into Depravity」. As part of studying both countries’ modern novels, this paper can provide a reference for reviewing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modern novels, and at the same time, help to clarify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Hyeon, jin-geon’s 「the Fallen」 and Yu Dafu’s 「Sink Into Depravity」 towards the history of China and South Korea’s modern literature.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면서
Ⅱ. 일본 사소설과 그 문학적 특징
Ⅲ. 현진건과 욱달부의 일본 사소설 수용
Ⅳ. 작품에 투영된 자전적 신변요소
Ⅴ. 내면세계의 폭로
Ⅵ.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