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Accuracy of Terrestrial Laser Surveying for Building 3D Cadastre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이돈선(Lee, Don Sun) 홍성언(Hong, Sung 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韓國地籍學會誌 第28卷 第1號, 75~8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상레이저 실험 측량을 통해 3차원 건물 점군 데이터를 취득한 후 다양한 정합 방법들을 적용하여 방법간 정확도를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확한 정합 방법을 선정한 후 무타깃TS 측량으로 정확도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3차원 지적구축에 적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정합방식에 따른 유형별 오차를 비교한 결과 트레버스 방식의 평균오차는 0.005m, 타겟방식의 평균오차는 0.011m, 형상의 특징점 정합에 의한 방식은 0.007m로 나타나 트레버스 방식이 근소한 차이지만 정합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합 방법 중 정확도가 높게 나타난 트레버스 방식에 대해 무타깃 TS로 정확도를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은 평면위치값과 높이값을 함께 분석하여 보고자 건물의 상단부 모서리점을 중심으로 총 12점의 검사점을 선정하였다. 지적현황측량으로 얻어진 검사점 총 12점에 대한 값을 건물 점군 자료에서 추출한 X, Y, Z 좌표값과 비교 분석한 결과, X좌표의 RMSE는 ±0.0328m, Y좌표의 RMSE는 ±0.0363m로 나타났고, 표고값의 RMSE는 ±0.0489m로 나타나 트레버스 방식에 의한 정합 방법에 의한 건물데이터 취득은 지적현황측량 성과와 비교하여도 많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3D buildings with ground laser measurement point cloud data by applying various methods to acquire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nalysis. After selecting the most accurate way to match, and Total Station measurement methods to verify its performance in 3D building w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Matching method based on error type and a comparison of the average error of Traverse way 0.005m, the average error of the target method 0.011m, 0.007m identify point matching approach appears to be due to Traverse matching method showed the hight accuracy. Match the hight accuracy of the methods presented by Traverse matching method selected and TS measurements, it looked way to verify the accuracy. Verification of the value of a flat position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 want to verify with the analysis centered on the top of the corner points of the point total of 12 check points were selected. Obtained by surveying a total of 12 points for the checkpoint point cloud data extracted from the building value, X, Y, Z coordinate values and comparative analysis, X coordinates of the RMSE of ±0.0328m, Y coordinates of the RMSE appeared in the ±0.0363m altitude, the ±0.0489m RMSE values appear as a way matched by Traverse manner when compared with th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지상레이저 측량 이론
3. 실험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