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신수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2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93~3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기업의 지속적 성장과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의 특성으로서 목표성향에 대해 주목하였다. 목표성향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속에서 끊임없이 발전하도록 하는 개인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자기경영과 관련된 해법을 탐색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강조한 학습성향의 자기규제기능을 기반으로 목표성향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인 변수로 증명하기 위해 각 하위요소(학습성향, 성과증명성향)별 과업행동을 다르게 가정하고 접근하였다. 또한 목표성향의 효과를 보다 분명하게 증명하기 위해 직무특성과의 상호작용효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9개 조직 상사-부하 총 155쌍의 자료를 위계적선형모형(HL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학습성향은 자기주도행동과 정적인 관계가 있고 성과증명성향은 자기표현행동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습성향이 있는 사람이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게 되면 더욱 자기주도적인 행동을 하는 반면, 성과증명성향이 있는 사람이 복잡한 직무를 수행하게 되면 실질적인 업무 개선보다는 잘한 것처럼 보이려는 자기표현행동을 강화한다.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자기규제기능 하나를 가지고 학습성향과 성과성향 모두에게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Ames & Archer, 1988; Phillips & Gully, 1997; VandeWalle & Cummings, 1997), 본 연구에서는 성과증명성향 자체의 독립된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표현기능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목표성향의 효과가 분명하게 나오기 위해서는 직무의 특성이 어떠해야 하는지 세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조직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