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이정훈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2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117~14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체제변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인력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가운데 인력개발의 변화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렇게 생산자원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북한 인력개발이 중국, 일본, 러시아 주변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인력을 개발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북한의 인력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은 동북아경제의 중심권을 지향하면서 남북한 경제통합을 도모하는 방향이다. 인력개발 체제가 인접국가와 상호대체 가능할 수 있도록 공통요소를 반영하여 개발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북한 인력을 개발의 문제는 교육체제와 연관되어 있다.
북한 인력 개발은 장기적으로는 통일 한국의 단일 교육 시스템을 지향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하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일 과정에 있어 단계를 설정하여 단계별로 인력양성에서의 초점을 다르게 하는 전략이 검토되었다.
북한의 인력개발을 위한 협력은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눠 3개의 국면에 따라 단계별 협력추진전략을 구성하였다. 제1국면 단기협력은 남북간에 협력을 통한 신뢰관계의 회복을 도모하는 기간으로, 이 기간 중에는 북한의 교육체제의 변화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물적 지원 및 인력개발체제를 혁신하기 위한 분야별 전문인력 및 기술 측면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시기이다. 제2국면은 경체공동체 형성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기간으로 시장증진적 전문인력 양성이 이루어지며, 기술수준의 향상을 가능하게 할 전문기술인력의 대규모 교육훈련을 목표로 한다. 제3국면은 인력수요가 다각화함에 따라 노동시장을 도입하며, 이를 토대로 남북한간 인력개발체제의 통합 준비를 목표로 하는 시기이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북한의 인력 개발 현황과 과제
Ⅲ. 북한 인력 개발협력 추진 전략
Ⅳ.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