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지역 투입-산출표 작성 위한 비조사 기법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조소운(Xiaoyun Zhao) 최성관(Sung-Goan Choi)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經濟硏究 第30卷 第4號, 179~20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투입산출모형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몇 가지 비조사법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한국의 경우 최선의 입지계수가 무엇인가를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투입산출표와 지역 고용데이터를 이용하여 레온티에프 역행렬을 유도하였다. 또한 ‘추정한 승수’와 ‘참 승수’간의 차이를 계산하기 위한 통계량으로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Q (Flegg et al. Location Quotient)와 AFLQ (Augmented Flegg et al. Location Quotient) 계수를 이용하는 것이 지역투입산출모형을 작성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대구와 경북에 대한 최적 입지계수가 FLQ (대구: δ=0.5 경북: δ=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자료수집이 어려운 지역경제를 분석할 때 매우 유용한 분석방법이 될 것임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test the performance of several prevalent non-survey techniques and find the best location quotient for Korea to establish the regional input-output model. For this purpose, the Leontief inverse matrices are deduced with the national input-output tables and the regional employment data.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benchmark tables which are issued based on the survey. Statistically,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was computed to measure how far the estimated multipliers from the ‘true’ ones. The FLQ (Flegg et al. Location Quotient) and AFLQ (Augmented Flegg et al. Location Quotient) methods are demonstrated as the better versions for construct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best Location Quotients for Daegu and Gyeongbuk area are the FLQ with δ=0.5, and δ=0.6, respectively. This finding should be helpful for analyzing regional area when the data is difficult to collect.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n the location quotient techniques
Ⅲ. The methodology and data
Ⅳ. Empirical results
Ⅴ. Summary and Conclusions
References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