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로스쿨 인증평가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이용수 241

영문명
Analysis and Suggestions about Approval of Law School in Americ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영호(Lee, Young Ho)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2권 제5호, 155~17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국의 로스쿨 인증평가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미국 로스쿨 평가의 목적, 절차와 내용 등을 분석하고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 미국 로스쿨 평가의 기능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최근의 미국 로스쿨 평가는 졸업생이 갖추어야할 역량에 중점을 둔 학습 성과(learning outcomes) 중심 평가를 시도하고 있다. 둘째, 로스쿨 평가의 예비 인증은 로스쿨 설립 자율을 보완하는 법학교육의 질 관리 기제로 활용하고 있다. 셋째, 로스쿨 평가 절차에서는 현장 실사가 매우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현장 실사를 위한 충분한 사전 준비와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넷째, 미국 로스쿨 평가기준은 8개영역 56개 평가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독점 법 위반 소송에 따른 합의서 채택이후 ABA는 지속적으로 평가기준을 검토하는 등 평가의 보다 신로할 수 있는 평가를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다섯째, 교육의 질 보장을 위한 인증평가에서는 정량평가 보다는 질적 평가가 중요시된다는 것을 미국로스쿨평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법학전문대학원 평가의 근본 목적은 법학교육의 질 보장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이 달성 될 수 있는 보다 타당하고 객관적이며 공정하며, 대학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법학전문대학원 발전 모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형 평가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reditation system of law school in America and to explore it’s suggestions. There were two inquiring questions in this study. First, there were analyzed purpose, standards and procedure for accreditation of law schools. Next, there were explore functions and problems for accreditation of law schools.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reached through such studies. First, learning outcomes such as ability of graduate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accreditation of law school. Second, it is quality assurance of legal education that provisional approval makes up for law school is established voluntarily in America. Third, site visits required by the ABA standards for approval of law schools. These visits may be regular site visits for fully-approved law schools, which take place every seventh year. Forth, the ABA standards for approval of law schools is composed 8 area and 56 standards. fifthly, it is used qualitative standards than quantitative in the ABA standards for approval of law schools Finally, The purpose on approval of law schools is quality assurance of legal education. Therefore, we should have to get validity, objectivity and fairness of accreditation of law school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국의 로스쿨 평가제도 고찰
Ⅲ. 미국의 로스쿨 평가제도 분석
Ⅳ. 미국 로스쿨 평가제도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호(Lee, Young Ho). (2012).미국 로스쿨 인증평가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2 (5), 155-174

MLA

이영호(Lee, Young Ho). "미국 로스쿨 인증평가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2.5(2012): 155-17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