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Blended Learning Communities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강명희(Kang, Myunghee) 유은조(Eunjo Yoo) 한정선(Jungsun Hahn) 류혜선(Hyesun You)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8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격고등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혼합형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기, 학습과정 변인의 직·간접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 원격대학의 혼합형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성인학습자 217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변인인 지각된 과제가치, 학습과정 변인인 인지실재감, 그리고 학습결과 변인인 학습성과를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모형은 Hu와 Bentler(1999)의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고, 지각된 과제가치는 인지실재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었고, 인지실재감은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또한 지각된 과제가치는 인지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혹은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학습동기 및 과정 변인의 예측력을 혼합형 학습공동체 상황에 적용하여 주요 학습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이로부터 원격고등교육을 지원하는 혼합형 학습공동체의 설계 및 실천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anc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blended learning community to support distance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related to a learning outcome. We have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of perceived task valu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consisted with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Data from self-report survey with 217 adult learners enrolled in K distance institution in Korea has been collected. The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18.0 showed that the hypothetical model has a good model fit verified on χ² test and RMSEA, TLI, CFI, NFI tests. The findings, therefore, indicated that perceived task value significantly affected cognitive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in turn, significantly affected learning outcome.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of task value on learning outcome with mediation of cognitive presence was verified.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would be the extended perspective of task value and its relationship with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in blended learning context. This result could give a guideline in desig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 implementing an effective blended learning commun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