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tterance Types in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정미(Jung-Mee Kim) 윤미선(Mi-Sun Yoon) 김수진(Soo-Jin Kim) 장문수(Moon-Soo Chang) 차재은(Jaeeun Cha)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3호, 488~49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연구목적: 구어는 문어와 달리 불완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언어병리학에서 구어에 기초한 연구들은 구어의 이러한 특성에 대한 고려가 다소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의자발화에 나타난 발화유형과 발화종결기능 어미들을 살펴봄으로써 아동구어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세~5세 아동 16명에게서 수집한 자발화를 바탕으로 김수진ㆍ차재은ㆍ오재혁(2011)의 발화유형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종결어미발화, 연결어미발화, 조각발화 및 미완결발화로 분류하고 다시 어순에 따라 정상발화와 도치발화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발화유형과 발화종결 기능 어미는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2세 아동들은 조각발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3, 4, 5세 아동은 종결어미 발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4세와 5세 아동들은 종결어미발화, 조각발화, 연결어미발화 및 미완결 발화의 순으로 나타나 성인의 발화유형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발화 종결에 사용한 어미들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유형의 종결어미와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아동들이 산출한 발화유형과 종결기능 어미분석을 통해 구어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발화유형의 비율에는 아동들의 문법능력이 반영되어 있었다. 아동 자발화에 나타나는 이러한 구어적 특성들은 언어평가와 중재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Spoken language has incomplete structures, and prior studies in communication disorders have been lacking in this area.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types of utterances and examined utterance final functioning endings of typically developing 2- to 5-year-old children. Methods: Sixt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utterances were recorded in everyday interactional contexts. A total of 3,200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utterance final intonation, final ending, completion for grammar and word order. Results: Results showed the fragment utterances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2-year-old children and utterance type with sentence final ending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other ages. In addition, the types of ending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e increase.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adults’ utterance types and discussed in a language developmental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