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s aspects de vie des paysans en France au XVIIIe siècle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김주식(Joo-Sik KIM)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1집, 25~3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11.08

국문 초록
혁명 이전까지 18세기 프랑스 농민의 물질적ㆍ정신적 생활상은 역사가들이 큰 의미를 부여하는 역사적 사건들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을 알 수 있도록 해주는 한 요소이다.
다양한 신분과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농민은 중세적ㆍ전통적 농경방식을 통하여 농촌공동체 속에서 집단적인 연대감을 유지하면서 살았다. 국가ㆍ교회ㆍ영주의 공제, 물가상승, 그리고 흉녕에 의해 수입의 대부분을 일은 농민은 영양실조와 기근 그리고 열악한 의식주로 말미암아 동물로 묘사될 정도의 생활을 하고 있었다. 인습적 사고방식에 젖어있고 또한 문맹이었던 농민은 구전, 경험 그리고 교회를 통해서만 정신적 양식을 얻었다.
18세기 프랑스 농만은 중세적 생활을 유지하고 생계유지에만 관심을 가졌다. 그들의 세계에서 절대주의나 계몽주의, 등은 낯설은 단어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En France, au 18ème siècle avant la Révolution, les aspects de vie matérielle et mentale des paysans sont les éléments qui pouvont autoriser à connaitre comment le peuple comprendre les faits historiques auxquels les historiens donnent les significations importantes.
Les paysans, divisés en divers situations ou conditions, qui avaient maintenu le mode médiéval et traditionnel de l’agriculture, avaient la solidarité collective dans la communauté rurale. Perdu la plupart des revenues par le prélèvement de l’état, de l’église et du seigneur. l’hausse des prix et les mauvaises années, ils étaient décrits comme “les animaux” à cause des difficultés pour assurer ses subsistances. Ils, les analphabètes, qui obtiennt la nourriture de l’esprit par la parole, l’expérience et l’église, vivaient au mode conventionnel de pensée.
Les paysans au 18ème siècle avaient maintenu la vie médiéval et s’avaient seulement intéressés à leur subsistances. L’absolutisme, les Lumières, etc. étaient les mots étrangers dans leur monde.
목차
1. 서론
2. 농민의 생활조건
3. 농민의 물질적 생활
4. 농민의 정신적 생활
5. 맺는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Résum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