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Sentence Comprehension in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진경(Jin Kyung Kim) 성지은(Jee Eun Sung) 정지향(Jee Hyang Jeo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2호, 338~355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이하 MCI) 환자와 알츠하이머성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이하 DAT) 환자는 문장이해능력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T로의 전환율이 가장 높은 기억성 MCI와 DAT, 그리고 정상노인을 대상으로 통사적 복잡성이 각 집단의 문장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집단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연령과 교육수준을 일치시킨 정상노인 20명, MCI 20명, DAT 14명이었다. 문장-그림일치 과제(sentence-picture matching task)를 이용하여 문장이해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문장유형은 (1) 접속문, (2) 주어수식-주격관계절내포문, (3) 주어수식-목적격관계절내포문, (4) 목적어수식-주격관계절내포문, (5) 목적어수식-목적격관계절내포문이었다. 결과: 정상노인에 비하여 MCI와 DAT의 문장이해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MCI와 DAT간에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문장유형에서 통사적 복잡성 요소가 포함된 문장에서 그렇지 않은 문장보다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MCI와 DAT의 문장이해정확도는 정상노인에 비하여 낮았다. 또한 통사적으로 단순한 문장보다 복잡한 문장에서 수행력이 낮았다. 하지만 MCI와 DAT에서 정상노인에 비해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현저한 수행력 저하를 관찰할 수는 없었다. 이는 MCI와 DAT가 실험 문장 중에서 비교적 단순한 문장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보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더욱 다양한 통사적 복잡성 요소가 정상노인과 MCI, DAT의 집단 간 문장이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는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Several studies have investigated sentence comprehension deficits in individuals with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and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who have mostly converted to DAT. However, the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sentence comprehension have not been thoroughly studied in Korean-speaking individuals with MCI and DA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sentence-picture matching (SPM) task as a function of syntactic complexity among three groups: normal elderly adults (NEA), MCI, and DAT. Methods: Twenty individuals with MCI, 14 with DAT, and 20 age-matched NEA participated in the study. Performance on the SPM task was analyzed using a two-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SPM task consisted of five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s: 1) coordinate conjunction, 2) subject-subject relative clause, 3) subject-object relative clause, 4) object-subject relative clause, and 5) object-object relative clause. Resul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A group presented higher accuracy than the MCI and DAT groups, but the MCI group did not differ from the DAT group. Second, sentences with higher syntactic complexity components yielded lower accuracy than those with simpler syntactic structures. Third, the NEA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curacy than the MCI and DAT groups, who did not differ from each other, in simple sentences with parallel function and subject related sentences than in complex sentences with non-parallel function and object related sentence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Korean-speaking individuals with MCI and DAT are less accurate in overall sentence comprehension than the NEA group. In addition, all of the groups showed lower accuracy in comprehension of complex sentences than simple sentences.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the syntactic-complexity based on the SPM task could be a sensitive tool for use in differentiating the MCI and DAT groups from the normal aging pop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