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rehension of Active and Passive Sentences in Korean Aphasics: Evidence for Processing Deficit Hypothesi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소영(So-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2호, 322~337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한 실험 자극을 통해 피동 표현 자체가 지닌 처리 부담이 이해의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음을 알아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실어증 환자들이 보이는 문장 이해 결함을 처리 기반 가설로 설명하는 바의 타당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문장-그림 짝짓기 과제를 사용하여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 각 12명의 반응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자극으로 문장 성분 및 어순은 동일하되 서술어의 의미로 피동이 형성되는 의미적 능ㆍ피동문을 제작하여, 접사에 의해 구분되는 형태적 능ㆍ피동문과 비교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실어증 집단이 지닌 상대적인 문장 이해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또한 서술어의 의미 외에 조사 및 접사의 영향이 배제된 의미적 피동문에서도 형태적 피동문과 마찬가지로 능동문에 비해 낮은 반응정확도와 증가된 반응시간이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피동 의미 자체가 지니고 있는 처리의 부담을 확인하였고, 이 같은 결과는 실어증 환자들이 보이는 문장 이해 특성을 특정 통사 구조에 국한하여 설명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Several models of comprehension deficits in agrammatic aphasia rely on structural impairments in syntactic representation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aphasics’ sentence-processing routines depending on the reason for the processing defic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easons for using a particular processing approach based on the language-specific characteristics of Koreans. Methods: In order to compare individuals’ sentence-comprehension abilities, this study measured the accuracy and reaction times (RT) of 16 aphasic patients (AP) and 16 normal controls (NC) during a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In comparison with the “morphological passive” where a suffix is used, the “semantic passive” consists of sentences derived solely from a verb that has passive meaning properties (ex: “danghada” means “undergo something”). Results: Both groups showed higher error rates and longer RT in the passive condition irrespective of sentence type (morphological/semanti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 aptitudeis needed in order to understand passive expressions and the frequency of usage was considered one of the possible factors affecting these result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phasic impairment of sentence comprehension can be explained by aprocessing deficit rather than agrammar-oriented hypothes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