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honological Complexity on the Naming Ability of Preschool-Age Children who Stutter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소연(So-yeon Lee) 심현섭(Hyun-sub Sim) 신문자(Moon-ja Shin) 이수복(Soo-bok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2호, 219~23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최근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조음ㆍ음운능력이 취약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조음복잡성을 통해 이름대기 정확율과 효율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고, 조음복잡성이 말더듬 아동의 이름대기능력과 어떤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 16명과 수용어휘능력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그림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목표낱말의 그림은 컴퓨터 스크린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반응시간(㎳)은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자동으로 측정 및 저장되었다. 조음복잡성에 따른 정확률 및 반응시간의 집단 간 비교를 위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말더듬 아동집단의 이름대기 수행에서 조음복잡성과 정확률, 반응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름대기 과제의 정확률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조음복잡성 정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말더듬 아동집단의 반응시간이 일반 아동집단 보다 유의하게 길었으며, 두 집단 모두 조음복잡성이 높을 때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말더듬 아동집단의 비유창성 비율은 조음복잡성 및 반응시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조음복잡성이 학령전기 아동들의 이름대기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일 수 있으며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발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ming ability in preschool-age children who stutter(CW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honological complexity on accuracy and speech reaction time(SRT) in the naming task.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sixteen children who stutter(CWS) and sixteen receptive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who do not stutter(CWNS), ranging in age from 3.7 to 6.11. The experimental procedures involved a computer-assisted picture-naming task, during which each participant was presented with the same set of thirty-four pictures of target words. These words were divided into two subsets and were low versus high in phonological complexity. This study compared the CWS’s accuracy and SRT to that of the CWNS depending on the phonological complexity and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curacy, SRT, and frequency of disfluencies and the phonological complexity and ag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ccuracy of the CWS and CWNS. (b) The CWS showed significantly slower reaction time than the CWNS in each level of phonological complexity.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the phonological complexity. (c)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honological complexity and the SR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disfluencies was for the CWS, the slower their SRT was. Discussion & Conclusion: In comparison to the CWNS, the CWS were inefficient in the naming task even when they named the word fluently. Both the CWS’ and CWNS’ reaction times were slower at the higher level of phonological complexity and the frequency of the disfluencies for the CWS chang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honological complex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WS may be relatively inefficient in language processing abilities when compared to the abilities of the CW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