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광지 장소성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6

영문명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trategy of Placeness for Tourist Place - The Case of TtangKeut Village -
발행기관
한국문화관광학회
저자명
한상일
간행물 정보
『문화관광연구』제4권 제2호, 566~585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an effort to integrate the concept of ‘placeness’ in the field of tourism planning and ‘place marketing’ in the socioeconomic field, this study investigates empirically a series of questions of what makes the placeness. The results, drived from the questionaire survey data from TtangKeut Village in Haenam, are as follows ; Firstly, factor analysis shows that ‘landscape resources’ and ‘invisible support’ and ‘visible support’ constitute the factors of the tourist site placeness. Secondly,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se factors of the placeness influence positively tourist’s overall satisfactions. Finally, It requires to integrate these factors to the communication concept in order to establish plac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관광지의 장소성과 장소마케팅
Ⅲ. 관광지 장소성의 형성요인
Ⅳ. 땅끝마을의 장소성 분석
Ⅴ. 장소마케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일. (2002).관광지 장소성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4 (2), 566-585

MLA

한상일. "관광지 장소성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4.2(2002): 566-58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