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Shahin Borhanian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19권 제1호, 145~18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국문 초록
2012년 초 서울시교육청은 서울시의 초중고에 적용될 학생인권조례를 공표하였다. 이 학생인권조례는 학생들에게 자유롭게 복장을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통적으로 학생들에게 교복을 입도록 하던 방침을 완화하는 등 한국에서 매우 논란이 되고 있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학교가 학생들에게 복장에 관한 규율과 교복을 강제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한국 독자들을 위하여 비교법적 측면에서 미국법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한 것이다. 본 논문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미국 공립학교에서 교복을 의무화 하는 정책이 늘어나는 경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미국에서 헌법적으로 보호되는 의사표현의 자유의 확립 과정을 개관하였다. 네 번째 부분은 학생들의 제1차 수정헌법상 권리의 해석에 관한 미연방대법원의 판결을 소개하였다. 다섯 번째 부분에서는 다수의 연방항소법원 판례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헌법해석의 구조에 대하여 소개하였는데, 이러한 해석은 미국의 각 학교에서 내용 중립적인(content-neutral) 교복착용을 의무화하는 정책의 채택을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한국에서의 초중고학생들의 의사표현의 자유의 문제를 다루었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복장에 관한 규율과 교복을 입도록 하는 정책이 그 자체로서 모든 학교에서의 훈육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만병통치약이 될 수는 없지만, 교복은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근거로 한 법적 이의제기를 견딜 수 있는 상당히 일관된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학생들의 훈육과 안전에 관한 전반적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학교당국은 학생들의 복장에 관한 정책에 대하여 부모들의 지원을 고려하여 이끌어 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In 2012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had adopted a controversial human rights ordinance that, among its other provisions, loosens up traditionally prevalent school uniform requirements by allowing students freedom to choose their own clothing styl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mparative law of the United States to address whether schools may adopt dress codes or mandate school uniforms without violating the rights of students to self expression. Part Ⅱ delineates the recent impetus for the proliferation of dress codes and school uniform policies in American public schools. Part Ⅲ briefly outlines the foundations of constitutionally protected speech in that nation. Part Ⅳ presents the U.S. Supreme Court rulings that frame the First Amendment rights of students. Part Ⅴ introduces a distinct constitutional framework that is emerging in a number of federal circuit courts, which framework is supportive of the authority of American school officials to adopt content-neutral dress codes and school uniform requirements. Part Ⅵ is an overview of the free speech rights of Students in Korea.
While the distinction between speech in schools and outside of schools is less significant in Korean law, in the United States, minors are generally afforded the presumption of constitutional protection as "persons." However, their rights to protected speech are not coextensive with the rights of adults outside of the school setting. The nature of the First Amendment rights of students in Americ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what is appropriate for "children in school." School official are not obliged by the U.S. Constitution to surrender control of schools to public school students, and the degree of freedom that students enjoy must be weighed against the responsibility of teachers to manage school work and to keep the learning environment free from undue disruption.
In the United States school dress codes and mandatory school uniform requirements are generally considered content-neutral regulations of expressive conduct. A number of federal Circuit Courts have ruled that such school policies survive intermediate scrutiny in that they further important government interests such as promoting safety, focusing student attention on academics, eliminating dress differences that emphasize income disparity, and simplifying daily school preparation; that such governmental interests are unrelated to the suppression of student expression; and that any resulting incidental restrictions on First Amendment activities are no more than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governmental interests. While some dress codes have been successfully challenged primarily for being vague and thus arbitrary, school uniforms have been highly successful and have survived legal challenges in the United States.
목차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Dress Codes and Student Uniform Requirements in American Schools
Ⅲ. Foundations of Constitutionally Protected Speech
Ⅳ. The First Amendment Rights of Students in Public Schools
Ⅴ. Constitutionality of Dress Codes and Uniform Requirements, an Emerging Framework in Three Circuit Courts
Ⅵ. Free Speech and the Rights of Students in Korea
Ⅶ.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