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llaborative Network Structure for Information Exchang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동규(Dong Kyu Lee)(李東奎) 서인석(In Seok Seo)(徐寅錫) 장소진(So Jin Jang)(張素珍)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2호, 287~31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협력 네트워크 차원에서의 북한이탈주민의 정착 지원 프로그램 구조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누적 인구분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각 지방정부들은 지역 설정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별 사회복지단체와 연대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협력기관들간의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지원과 관련된 정보교환망의 협력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이들의 연계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속성, 네트워크 결속, 중앙성(centrality), 결집집단(cohesion), 구조적 등위성(CONCOR)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향후 정보교류 및 제공의 차원에서 보다 낳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이들의 관계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고, 이에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책임있는 기관 및 중재자가 요청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민간단체, 지역기업 및 사회적 기업 간의 협력 네트워크에 있어 사회통합 모니터링 센터를 중심으로 소통영역, 신뢰영역, 협력영역, 기회 영역별로 정보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구축되어야 한다. 향후에는 정부주도 민간 보조형으로 사회 정착 지원에 상당한 역할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밀도, 중앙성, 응집성, 구조적 등위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의 네트워크의 중심과 협력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및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illustrate the structure of settlement support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applying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network. Network features, unity, centrality, cohesion and structural equivalence are measured which would explain collaboration network structure on information exchange among settlement support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collaborating organizations 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reliable organization or mediator is in need for coordination among themselves. Therefore, collaborative network among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social corporation should be established around social cohesion monitoring center with an emphasis on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communication, trust, collaboration and opportunity. Also, it turns out that settlement support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seek for government taking the initiative and private sector providing assistance. By analyzing density, centrality, cohesion and structural equivalence, policy implications are drawn for the core and collaboration of settlement support network.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Review
Ⅲ. Research Design
Ⅳ. Analysis Outcome
Ⅴ. Conclusion: Policy Suggestion
References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